목차
이번 포스팅에서는 경전철(신림선/동북선/위례신사선/우이신설선) 현황_연장, 노선도, 가능성, 착공, 개통시기 등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1. 신림선 현황
22년 5월 말 개통한 신림선은 여의도 샛강역과 관악산(서울대)역을 연결하는 총 7.8㎞ 길이의 경전철 노선입니다. 지하철 9호선(샛강역)·1호선(대방역)·7호선(보라매역)·2호선(신림역)과 환승됩니다.
신림선이 개통되어 그동안 지하철이 없었던 관악구 일부 지역 교통난 해소에 많은 도움을 주었으며, 작지만 가성비 좋은 알짜배기 노선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그리고 향후 생길 예정인 난곡선·서부선과도 연계되기 때문에 더 기대해 볼 만합니다.
신림선 노선도
신림선 정차역
정차역은 샛강역(9호선), 대방역(1호선), 서울지방병무청역, 보라매역(7호선), 보라매공원역, 보라매병원역, 당곡역, 신림역(2호선), 서원역, 서울대벤처타운역, 관악산역 등이 있습니다.
신림선 연장안
신림선 북부 연장은 샛강역~여의도 북부 한양아파트역(가칭)까지 연결하여 향후 생길 서부선과 연결하는 것입니다. 신림선 남부 연장은 서울대입구역에서 향후 생길 서선 관악산주차장역(가칭)까지 연결하는 사업입니다.
모두 서부선 건설과 연계되어 있으며, 이를 통해 서부선과 환승이 가능해져 순환 체계를 갖추게 됩니다.
서부선 현황 (정차역, 착공, 개통, 노선도, 요금 등)
부동산/교통망 입지 서부선 현황 (정차역, 착공, 개통, 노선도, 요금 등) by 레버노트 2024. 2. 11. 이번 포스팅에서는 서부선 현황(정차역, 착공, 개통, 노선도, 요금 등)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
levertool.tistory.com
신림선 차량
신림선의 열차는 고무차륜 AGT 경전철로 바퀴가 고무로 되어 있기 때문에 철차륜 경전철과 비교하면 진동과 소음이 적습니다. 3량1편성으로 최대 정원은 158명으로 다른 열차에 비해 적은 편입니다.
신림선 속도
표정속도는 24km/h로 평소에 천천히 운행하는 편이며, 운행최고속도 60km/h, 설계최고속도 70km/h입니다.
신림선 배차
신림선 운행은 평시의 경우 7~10분 간격으로 운행되고, 출퇴근 시에는 3~4분 간격으로 운영된다고 합니다. 그리고 샛강역 상행선 첫차는 5시 30분이고, 막차 시간은 0시 44분(주말 23시 44분)입니다.
신림선 요금
신림선 요금은 다른 지하철과 동일하게 수도권 통합환승할인제도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기본요금이 1400원(5km마다 추가 100원)이지만, 최근 소식에 따르면 기본요금이 1550원까지 인상될 예정이라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2. 동북선 현황
동북선 경전철 도시철도는 성동구 왕십리역을 출발해 경동시장, 고려대, 미아사거리, 월계, 하계, 은행사거리를 거쳐 노원구 상계역을 연결하는 16개 정거장, 총연장 13.4㎞입니다.
모든 구간이 지하에 건설되고 본선, 정거장 16개소·차량기지 1개소 등에 총 사업비 1조 5,446억 원이 투입됐다고 합니다. 21년 7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공정률 30% 이상 진행됐다고 합니다.
동북선 노선도
동북선 정차역
성동구 왕십리역(2호선)을 출발해 마장동우체국역, 제기동역(1호선), 고려대역(6호선), 숭례초역, 종암경찰서역, 미아사거리역(4호선), 창문여고역, 북서울꿈의숲동문삼거리역, 롯데캐슬역, 월계역(1호선), 하계역(7호선), 대진고역, 은행사거리역, 차량기지역(가칭), 상계역(4호선)까지 16개 정차역이 있습니다.
동북선 개통
21년 7월에 공사를 시작하여 현재까지 공정률 30% 이상 진행됐으며, 지하터널 개척을 위한 터파기와 터널공사가 한창이라고 합니다. 개통은 26년쯤 예상하고 있습니다.
동북선 경전철이 개통하면 왕십리역에서 상계역까지의 소요시간은 기존 50분대에서 20분대로 단축될 것이라고 합니다.
동북선 속도
설계 최고속도 80km/h, 운행 최고속도 70km/h, 표정속도 30.9km/h라고 합니다.
동북선 차량
다른 경전철들은 고무차륜 방식이지만, 동북선은 철차륜 방식입니다. 2량 1편성으로 172명 정원이라고 합니다.
동북선 요금
현재 서울시 경전철 요금과 기준으로 책정될 것이라고 합니다. 기본요금 1550원에서 5km마다 추가 100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신림선vs동북선
신림선 | 동북선 | |
개통일 | 22년 5월 | 26년 7월 |
시종점 | 샛강역~관악산역 | 왕십리역~상계역 |
노선 길이 | 7.8km | 13.4km |
전 구간 소요시간 | 18.5분 | 26분 |
표정속도 | 24.0km/h | 30.9km/h |
운행최고속도 | 60km/h | 70km/h |
역수 | 11개 | 16개 |
차량기지 위치 | 보라매공원역 지하 | 불암산입구역 지하 |
바퀴 형식 | 고무차륜 | 철차륜 |
편성당 정원 | 158명 | 172명 |
운전시격 | 출퇴근시 3~4분 평시 7~9분 |
출퇴근시 2.5~3분 평시 3.5~5분 |
민자사업자 | (주)남서울경전철 (농협금융지주) |
(주)동북선동시철도 (현대자동차그룹) |
연장 계획 | 보라매공원역 분기 (난곡선 계획) 여의도 북부 연장 |
상계역에서 방학역까지 연장 (총선 공약) |
사업방식 | 수익형 민자사업(BTO) 30년 | |
운전방식 | 무인 자동운전 | |
운임제도 | 수도권 통합요금제 (노인 무임) |
*출처 : 서울특별시(https://opengov.seoul.go.kr/)
3. 위례신사선 현황
위례신사선 도시철도 민간투자사업은 길이 14.8km(정거장 11개소, 차량기지 1개소) 노선으로 사업비는 1조 1,597억 원입니다.
위례신사선은 총사업비 1조 1597억 원 규모의 광역교통사업이며, 사업시행사인 GS건설 컨소시엄이 50%의 비용을 부담하고, 나머지 50%는 시비와 국비로 충당된다고 합니다.
위례신사선이 완공되면 주민들은 위례신도시에서 출발해 가락시장역·학여울역·삼성역·청담역 등을 거쳐 3호선 신사역까지 연결되는 노선을 이용할 수 있게 됩니다.
위례신사선 노선도
위례신사선 정차역
위례신사선 정차역은 총 11개로 위례역, 동남권유통단지역, 가락시장역, 가락시영역, 학여울역, 삼성역, 봉은사역, 청담역, 학동사거리역, 을지병원역, 신사역 등이 있습니다.
위례신사선 착공
이 사업은 설계 및 사업자 변경 등으로 난항을 겪다가 23년 하반기 착공해 28년 완공과 함께 개통 목적이었습니다. 하지만 23년 9월 기재부 민간투자심의위원회(민투심)에서 총사업비 조정방안에 발목이 잡혀 심의를 통과히지 못했습니다.
23년에 민투심에서 통과되면 위례신사선이 23년 하반기 착공에 돌입할 계획이었으나, 교통개선분담금 기회비용 문제로 연기됐기 때문에 올해는 반드시 착공할 수 있을지 주민들의 걱정이 많습니다.
또한, 공사비 상승과 공사 지연에 따른 화폐가치 하락은 서울시 예산과 사업자(GS건설 컨소시엄)가 나눠서 부담해야 하기 때문에 추가적인 예산이 필요하다고 합니다. 서울시도 문제점을 인지하고, 정부(국토부 산하 대도시권광역위원회)에 14년 전에 걷어간 교통개선분담금에 대한 이자와 물가상승분 등을 반영해 줄 것을 요청했다고 합니다.
인건비·자재비 등이 크게 올라 과거 예상했던 총 사업비(1조 1,597억 원)보다 비용이 더 늘어났기 때문에 분담금 이자 등이 반영되어야 착공이 가능하게 될 것 같습니다. 만약 해당 문제가 올해 해결될 것으로 기대한다면, 2024~2025년에는 착공할 것으로 예상해 봅니다.
위례신사선 개통
만약 착공시기가 늦춰져 2025년쯤 공사가 시작된다고 가정한다면, 위례신사선의 공사기간이 5년인 점을 고려하여 2030년쯤 개통될 것으로 예상합니다.
위례신사선 속도
운행 속도는 70km/h이며, 최고속도는 80km/h입니다.
위례신사선 차량
차량 형식은 완전 무인 자동운전 고무차륜 AGT 방식이며, 경전철 3량 1편성하여 승객정원은 173명(만차 시 261명)이라고 합니다.
위례신사선 요금
이용요금은 10km까지 기본요금 1400원에서 5km마다 추가 100원을 예상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최근 소식에 따르면 현재 1400원인 지하철 기본요금이 1550원까지 인상될 예정이라고 하니 참고 바랍니다.
4. 우이신설선 현황
우이신설선은 2017년 9월에 개통한 서울시 무인 경전철의 첫 번째 노선으로, 강북구 북한산우이역에서 삼양동과 정릉 일대를 지나 동대문구 신설동역을 잇는 길이 11.4km 노선입니다.
최근에는 우이신설 연장선이 승인되어 방학역까지 곧 공사가 시작될 예정이라고 하며, 이를 통해 서울 동북권의 도시철도 편의와 함께 지역발이 기대되고 있습니다. 연장 노선의 사업비는 4267억 원이며, 길이는 3.93km라고 합니다.
우이신설선 노선
우이신설 연장선
착공시기
올 상반기에 공사수행방식 등 사전절차를 마무리 짓고 25년 공사에 착수할 예정입니다.
개통시기
개통시기는 31년을 예상한다고 합니다.
우이신설선 정차역
정차역은 북한산우이역, 솔밭공원, 4.19민주묘지역, 가오리역, 화계역, 삼양역, 삼양사거리역, 솔샘역, 북한산보국문역, 정릉역, 성신여개입구역(4호선), 보문역(6호선), 신설동역(1호선, 2호선) 등이 있습니다.
추가 연장되는 노선 정차역은 솔밭공원역, 101(가칭 선덕고교역), 102(가칭 서원아파트역), 방학역 등이 있습니다.
우이신설선 차량
전동차는 2량 1편성(총 32량 16편성)으로 구성됐습니다.
우이신설선 속도
표정속도 33.8km/h, 운행속도 65km/h, 최고속도 80km/h입니다.
우이신설선 배차
오전 5시 30분 첫차를 시작으로 평일은 오전 1시, 휴일은 0시까지 운행합니다. 운행 간격은 출퇴근 시간대는 3분(연장선 6분), 그 외 시간대는 6분(연장선 12분)이며, 정차시간은 일반역 30초, 환승역 40초라고 합니다.
우이신설선 요금
기본운임(교통카드)은 일반 1,400원, 청소년 800원, 어린이 500원이며, 매 5km마다 100원이 추가됩니다. 24년 하반기에 기본운임이 추가로 인상될 예정입니다.
5. 포스팅을 마치며
[재개발, 교통망, 임대업, 부동산, 아파트] 공부방으로 초대합니다.
부동산 공부방
#재개발#재건축#교통망#지하철#아파트#임대업#분양#경기#인천#서울
open.kakao.com